Timeliner
소개
Timeliner는 Woanware에서 개발한 timeline 분석 도구로, 오픈소스로 제공된다. 최신 업데이트 일자는 2013년 8월 8일이며, 최신 버전은 0.1.2이다. Timeliner는 Windows 운영체제 환경에서 사용가능하다. Timeliner는 log2timeline으로 추출된 timeline csv파일을 효과적으로 분석, 정렬하여 큰 용량의 csv 파일을 SQL Server LocalDB를 통해 빠르게 분석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Timeliner는 독자적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반드시 PostgreSQL을 로컬 환경에 구축한 후, 서버 설정에 알맞게 Timeliner.config의 connectionStrings를 세팅하여야만 한다. Timeliner의 실행 화면은 [그림 1]과 같다.
사용법
Timeliner는 PostgreSQL을 사용하므로 PostgreSQL을 우선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실행 환경에서는 PostgreSQL v9.2.8을 선택하여 설치하였다. 설치 후 pgadmin을 실행하면 [그림 2]와 같은 창이 나타난다.
위 [그림 2]에서 선택되어 있는 메뉴에서 우 클릭 후, 연결 버튼을 누르고 root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연결한다. [그림 3]과 같이 연결이 성공한 상태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우 클릭하여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그림 4]에서 데이터베이스 명을 timeliner로 설정하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생성된 timeliner 데이터베이스를 클릭 한 후 [그림 5]에서 상단 툴바에 존재하는 돋보기 모양의 SQL 버튼을 클릭한다.
[그림 6]과 같은 화면에서 timeliner 설치 경로의 Database 폴더에 존재하는 schema.sql 파일을 오픈한 후, F5를 눌러 실행한다.
로그인 롤과 데이터베이스, timeliner를 우클릭하여 모두 새로고침 하면, 새로운 계정과 테이블이 추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 다음 Timeliner를 실행하여 New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그림 7]과 같이 생성할 수 있다.
도구 기능
Timeliner는 log2timeline의 출력 형식이나 ntfswalk, fls의 출력 파일 형식을 import하여 화면에 표시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즉, 본 도구가 가지고 있는 기능은 이 결과를 DB에 저장하고, 필터링하는 기능이다.
제한사항
Timeliner는 알려진 log2timeline과 ntfswalk의 출력 결과를 입력으로 하여 실행하였으나 DB에 데이터를 제대로 추가하지 못하는 등, 정상 동작하지 않는다.
수사 활용 방안
본 도구는 명시된 입력 포맷에 대해서도 정상적으로 동장하지 않으며, PostgreSQL을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수사 활용에 있어 효율적이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