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정의 및 설명[편집]
온라인상에서 친구, 선후배, 동료 등 불특정 타인과의 관계를 맺으며 폭넓은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 이용자들은 SNS를 통해 인맥을 새롭게 쌓거나, 기존 인맥과의 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다. 개인의 정보를 공유할 수도 있으며 의사소통을 도와주기도 한다. 전 세계적으로 SNS가 큰 인기를 끌면서 서비스의 형태도 다양해졌다. 스마트폰과 연동이 가능해지면서 더욱 다양한 기능들이 SNS에 부가되었다. 단순 인맥 형성 중심의 서비스에서 벗어나 쇼핑, 게임, 검색등과의 결합이 가속화되고 있다.
SNS명 | 특징 | 주요기능 |
---|---|---|
Cyworld | 지인 중심의 인맥 관리 | 일촌맺기, 쪽지보내기, 사진첩, 게시판 |
인맥 중심의 관계 형성 | 프로필, 팬페이지, 타임라인, 좋아요 | |
Blog | 관심사 위주의 친분 유지 | 이웃추가, 댓글달기 |
My Space | 언터테이먼트 관심사 중심 | 친구추가, 프로파일, 신변잡기 |
me2day | 연예인 중심의 팬 게시판 형성 | 미친, 미투, 쪽지, 댓글달기 |
Tweeter | 정보 공유 및 확산 | 팔로워, 팔루잉, 리플라이, 리트윗, 쪽지보내기 |
Band | 인맥 중심의 관계 형성 | 메신저, 비트윈, 데이비, 게시판, 사진첩 |
기술 현황[편집]
SNS 데이터 분석[편집]
SNS의 대부분의 데이터는 클라이언트쪽이 아닌 서버쪽에 저장되어 있다. 데이터가 서버에서 관리되므로 각각의 서비스 마다 관리되는 포멧이 달라 특정데이터는 삭제되어 얻어내기 힘들 수도 있다. 현재는 SNS의 정보를 받아와 분석하는 논리적인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모바일 기기에서 SNS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연구도 많이 이루어져 있다.[1] 각 SNS서비스마다 유용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경로, 파일명, 수집 데이터 종류 등이 전부 다르므로 새로운 주요 SNS가 나온다면 새로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대용량 데이터 분석[편집]
SNS를 지원하는 포탈들은 대용량 데이터 분석의 필요를 느낀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데이터 수집이 필요하다. API를 이용하거나 XML[2], RSS[3], , Trackback[4] 같은 기술도 이용한다. 이후엔 유효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OLAP(On-Line Analytical Processing)[5]이나 Ontology[6] 기법이 쓰이고 있다.
SNS 데이터 보안[편집]
SNS의 보안 문제가 이슈가 되고있다. 모바일이나 태블릿PC 등의 무선 기기에서도 접속이 가능하므로 보안에 취약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최근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웹을 배경으로 개발된 SNS의 경우 HTTPS를 사용하여 인증과 암호화를 하고 있다. 하지만 HTTPS는 웹 서버와 브라우저 사이에 전송되는 카드 정보만을 암호화 할 뿐이다.[7] 더 많은 보안 연구가 필요하다.
삭제된 SNS 데이터 복구[편집]
일부 로그나 SNS상의 메신저의 통신내역이 로컬 데이터에 저장되어있을 경우, 파일을 복구할 수 있다. 하지만 서버쪽에 저장되어있을 경우 해당 서비스 마다 관리하는 방법이 달라 복구하기 힘들 수도 있다.
향후 연구[편집]
현재 SNS경우 관련 연구의 대부분이 이론적 틀을 이용한 과학적 연구보다는 현상을 기술하고 동향을 파악하는 연구에 집중되어 있다. SNS의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들이 많기 때문이다. 앞으로 기존이론의 검증이나 새로운 이론의 개발과 같은 이론적인 틀을 중심으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편집]
- ↑ 정진형,"iPhone의 SNS 데이터 수집 및 디지털 포렌식 분석 기법"
- ↑ http://ko.wikipedia.org/wiki/XML
- ↑ http://ko.wikipedia.org/wiki/RSS
- ↑ http://ko.wikipedia.org/wiki/%ED%8A%B8%EB%9E%99%EB%B0%B1
- ↑ http://www.city.academic.gr/s3ctit03/Abstracts/OLAP.pdf
- ↑ http://ko.wikipedia.org/wiki/%EC%98%A8%ED%86%A8%EB%A1%9C%EC%A7%80
- ↑ http://ko.wikipedia.org/wiki/HTT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