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이미지 테스트 데이터 세트 구축

Digital Forensic Wikipedia
DFRC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1월 25일 (일) 17:30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구축 방법[편집]

테스트 스마트폰은 총 11개이다. 각 테스트 스마트폰에는 디지털 포렌식 도구의 기능을 분석할 수 있는 아티팩트를 기록하였다. 테스트 스마트폰은 다음과 같은 절차로 구성하였다.

◦ 스마트폰 초기화
◦ 기본 어플리케이션 사용 및 데이터 삭제
◦ 서드파티 (3-rd party) 어플리케이션 사용 및 데이터 삭제
◦ 루팅 후 이미지 획득 (스마트폰 분석기능 사용 시)

스마트폰은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종으로 선정하였으며 주요 제조사의 제품들을 선정하였다. 선정한 스마트폰은 다음과 같다.

[표 1] 테스트 데이터 세트 스마트폰 기종
제조사 제품 모델
APPLE IPHONE 4 16 A1332
IPHONE4S 16 A1387
IPHONE5 16 A1428
IPHONE5S 16 A1457
SAMSUNG GALAXY S3 LTE SHV-E210S
GALAXY Note 2 SHV-E250S
GALAXY S4 LTE-A SHV-E330s
LG G Pro 2 LG-F350
G3 LG-F400
Pentech Vega S5(W) IM-A840S
VEGA Secret UP IM-A900S

테스트 데이터 세트 구축 시에는 스마트폰 포렌식 도구의 평가요소를 반영하여 구축하였다. 다음 표는 스마트폰 포렌식 도구의 기능 분석 평가 요소이다.

[표 2] 스마트폰 포렌식 도구 기능 분석 평가 요소
평가요소 분류 평가요소
데이터 추출 물리적 데이터 획득
논리적 데이터 획득
장치 정보
지원 OS IOS, ANDROID,
Blackberry, Window Mobile
분석 전화번호부 목록
메일
문자메시지
WIFI 접속 기록
메모
음성녹음
사진
동영상
통화기록
사용자 암호
인터넷 아티팩트
GPS 아티팩트
행아웃
일정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분석 세부 기능
데이터 복구
타임라인지원
연결성 분석
보고서 작성


[표 2]의 평가항목 중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분석 세부 기능’ 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 구매 시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기 위해 설치한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빈도가 높으며 사용자의 행위를 추측할 수 있는 정보가 많다. 스마트폰 포렌식 도구에서 분석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종류별로 다양하다. 이는 어플리케이션의 다양성과 개발사의 시각차에 기인한다. 수많은 어플리케이션을 모두 분석할 수 없으므로 개발사에서 분석할 주요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는데, 개발사가 수사 시 중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서비스를 선택하기 때문이다.

[표 3] 스마트폰 포렌식 도구 기능 분석 대상 어플리케이션
분류 Application (총 29개)
메신저 카카오톡,네이트온,네이버라인,QQ인터네셔널,
WeChat,Skype,Viber,FacebookMessenger,
틱톡, 돈톡
SNS 트위터, Facebook, 카카오스토리, BAND
메모 · 메일 NAVER메일, NAVER메모,
NAVER 캘린더, Evernote
브라우저 Chrome, NAVER, DAUM
지도 다음지도, 네이버지도,
서울버스, Smarter Subway
기타 Youtube, N드라이브, 한글 2010 뷰어,
Polaris Office


한국의 실정에 맞게 [표 3]의 사용자가 많은 어플리케이션 29개를 선정하여 테스트 데이터 세트를 구축하였다. 어플리케이션의 버전은 2014년 11월 1일 기준 가장 최신 버전이다. 제품마다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차이가 있으므로, 수사관은 스마트폰 분석 시 도구 기능 분석 결과를 참고하여 적절한 도구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각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 스마트폰을 실제로 사용하였으며 데이터 복구 기능의 지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임의로 데이터를 삭제하였다. 각 스마트폰 별로 삭제한 데이터는 별첨 ‘스마트폰 기능 분석 결과.xlsx’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계[편집]

구축한 스마트폰 테스트 데이터 세트는 스마트폰 포렌식 도구 간의 기능 비교 분석 시에만 활용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스마트폰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같은 스마트폰이더라도 OS 버전별로 기능 분석 실험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에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업데이트가 빈번하여 도구 기능 분석을 위한 테스트 세트도 지속적으로 관리해야한다는 한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