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Digital Forensic Wikipedia
Kimjeonghyeon (토론 | 기여)님의 2014년 3월 17일 (월) 18:41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정의 및 설명[편집]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전자 제품이다.
흔히 MP3 플레이어, MP3P 등으로 불리지만 많은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가 MP3 이외의 파일 형식을 지원한다.
[1]

기술 현황[편집]

오디오 압축포맷[편집]

MP3는 오디오 파일의 크기를 줄여주는 압축 기법인 MPEG-1(Motion Picture Expert Group) 오디오 레이어3의 일반적인 명칭이다.
이런 압축방법을 사용하면 일반 CD오디오를 12대 1의 비율로 압축할 수 있고, 압축된 MP3 파일은 128Kbps의 전송률로 보내지거나 다운로드될 수 있다.
MP3 파일은 저작권 보호에 관련된 암호화 기법이나 보안 기법 등을 제공하지 않 으므로 계속해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고, 리퍼(ripper) 라는 소프트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누구나 CD로부터 MP3 파일을 만들 수도 있다.
MP3 파일의 무단 복제는 저작권 문제로 연결되어 지금은 무료로 다운받을 수 없도록 암호화 기법을 사용하고, MP3 플레이어에서도 이런 암호화 방식을 기기 자체에 적용하고 있다 이외에도 MP3보다 더 적은 저장공간을 필요로 하고, 더 높은 재생음질을 제공하는 AAC와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무료로 공급하는 WMA 포맷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대부분의 포맷들은 서로 호환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혼란이 가중되었으나, 아직까지는 콘텐츠 대부분이 사용자를 위해서 MP3로도 포맷되고 있다.
또한 MP3 플레이어 제조업체 들이 이런 여러 가지의 코덱을 함께 지원하는 멀티포맷 플레이어를 개발하여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그리고 차세대에는 오디오는 물론 동영상, 에니메이션, 그래픽 등을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인 MP4 (*7)가 상용화 될 뿐 아니라, 인터넷을 통한 멀티미디어 검색 엔진을 탑재하고 있어 PVR(Personal Video Recoders), 세트톱박스, MP3 플레이어, 무선기기 등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하거나 데이터 정보를 관리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한 MPEG7 표준안도 승인 받을 예정이다.
[2]

저장기술[편집]

초기에 휴대형 MP3 플레이어는 반도체메모리(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하였으나, 플래시 메모리의 높은 가격과 적은 저장용량 때문에 다른 저장매체를 요구하게 되었다.
그런 면에서 자기매체(하드디스크)와 광매체(광디스크)가 사용되었고, 현재 출시되는 중저가 제품의 절반 이상이 광디스크형 플레이어가 차지하고 있다.

보안기술[편집]

MP3로 압축된 음악 파일은 CD 수준의 음질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인터넷 등을 통한 무한복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불법복제에 따른 저작권 보호가 큰 문제이다.
일반적인 불법복제로부터의 복제보호 시스템은 가능한 복제 횟수 제한, 만료 이전에 음악의 연주횟수 제한, 만료되는 기간 설정 등과 같은 것으로서, 이것은 데이터의 암호화를 통해 가능하다.
이에 휴대용 장비 연구 단체(Portable Device Working Group)에 의해 제안된 SDMI(SecureDigitalMusicInitiative)는 해적판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했다.
불법복제를 방지하는 방법으로는 디지털 음악이나 앨범처럼 콘텐츠 한 부분을 전자적으로 'lock' 하거나 (*10) '워터마크' 하는 방법이 있다.

신호처리[편집]

일반적으로 디지털 신호처리는 기기 메모리로부터의 음악검색과 압축 오디오 파일에서의 비압축 알고리즘 실행 등, 중요 기능들을 DSP(Digital Signal Process)칩을 이용하여 조정한다.
MP3 플레이어의 기본 Logic에 대한 기술은 독일의 한 연구기관이 가지고 있고, 많은 칩 제조업체들은 이런 Logic에 기반을 두고 다양한 기능을 통합한 DSP를 설계하고 있다.
소비자 제품 시장이 성장할수록, 점점 더 많은 칩 제조업체들이 디지털 오디오 기기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DSP를 생산하고 있다.
대표적인 기업은 Cirrus Logic과 Texas In struments(TI)가 있다.

관련 도구[편집]

휴대용 기기 제품으로는 애플의 아이팟, 삼성의 yepp과 코원, 아이리버, 소니의 제품이 대표적이다.
그밖에도 다향한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향후 연구[편집]

스마트폰의 등장과 다양한 기능의 탑재로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자체로는 쇠퇴의 길에 들어섰다는 것은 IT 전문가들 누구나 인정하는 현실이 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도 음질을 우선으로 하는 최상의 스테레오 사운드와 이퀄라이저 기능 강화에 대한 개발은 진행중이다.
[3]

참고문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