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FA(Web browser Forensic Analyzer)

Digital Forensic Wikipedia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소개[편집]

[그림 1] WEFA 실행 화면

WEFA는 4&6TECH의 상용 웹브라우저 사용 흔적 분석 도구이다. WEFA의 최신 버전은 1.3.4이다. 본 항에서는 최신버전인 1.3.4를 기반으로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WEFA는 Windows환경에서 실행 가능하다. WEFA는 Internet Explorer, Firefox, Chrome, Safari, Opera웹브라우저의 사용 흔적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결과를 CSV파일이나 보고서로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WEFA 실행 화면은 [그림 1]와 같다.

사용법[편집]

케이스 생성[편집]

[그림 2] WEFA 새 케이스 생성 화면

WEFA를 실행하여 파일탭의 열기를 클릭하여 [그림 2]처럼 조사관, 케이스 번호, 메모, 케이스 폴더 경로를 입력하고 새 케이스를 생성한다.


파일 수집[편집]

[[파일:WEFA 수집 영역 선택 화면.png|섬네일|[그림 3] 파일명WEFA 수집 영역 선택 화면] 파일탭의 웹브라우저 로그파일 수집을 클릭하면 [그림 3]과 같은 창을 볼 수 있는데, 분석하고자 하는 볼륨을 선택하고 진행을 누른다.


[그림 4] WEFA 웹 브라우저 로그 파일 수집

[그림4]과 같이 수집 대상 계정과 사용한 웹브라우저를 출력해준다. 오른쪽에 수집 옵션을 필요에 따라 선택하고 수집 버튼을 누른다.

수집이 완료된 후 케이스 생성 단계에서 설정한 폴더 안에 Collection 폴더를 보면, WEFA_Collection_YYYYMMDDHHMMSS와같은 형식의 폴더 안에 수집한 폴더와 파일들이 저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분석[편집]

[그림 5] WEFA 웹 브라우저 로그 정보 분석 화면

파일탭의 웹브라우저 로그정보 분석을 클릭하면 [그림 5]와 같은 창을 볼 수 있다. 폴더 열기 버튼을 클릭하여 이전 단계에서 수집한 WEFA_Collection_YYYYMMDDHHMMSS 폴더를 선택한다. 수집한 파일들에 대한 파싱을 시작하고 완료하면 분석 결과를 출력한다.

도구 기능[편집]

WEFA는 웹 브라우저 분석 결과를 캐시, 히스토리, 쿠키, 다운로드 목록, 세션, 검색 정보, 로컬파일 열람, 임시인터넷파일, 타임라인 탭으로 구분하여 출력한다. 분석 결과에서 필터 창을 통해 원하는 문자열만을 포함한 결과를 재 출력하도록 필터링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WEFA는 웹페이지 뷰어 기능과 분석 결과를 보고서로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캐시[편집]

[그림 6] WEFA 캐시 탭 화면

WEFA는 브라우저별 캐시 정보를 파싱하여 [그림 6]처럼 출력한다. 캐시 탭의 각 항목은 [표 1]와 같은 정보를 나타낸다.

[표 1] WEFA 캐시 탭 정보
항목 설명
브라우저 사용한 웹브라우저
디코딩 URL URL에서 URL 인코딩된 부분을 디코딩한 URL
URL 캐시를 다운로드한 URL
방문시간 캐시를 다운로드한 시간
캐시 파일명 다운로드한 캐시 파일 이름
저장 파일명 저장된 캐시 파일 이름
파일크기 캐시 파일 크기
저장 폴더명 저장된 폴더 이름
파일경로 저장된 파일 경로

히스토리[편집]

[그림 7] WEFA 히스토리 탭

WEFA는 브라우저별 히스토리 정보를 파싱하여 [그림 7]처럼 출력한다. 히스토리 탭의 각 항목은 [표 2]과 같은 정보를 나타낸다.

[표 2 ] WEFA 히스토리 탭 정보
항목 설명
브라우저 사용한 웹브라우저
행위 사용자의 행위 분석(검색, 블로그, SNS 등)
검색정보 행위가 검색일 경우 검색한 내용
디코딩 URL URL에서 URL 인코딩된 부분을 디코딩한 URL
URL 방문한 URL
방문시간 방문한 시간
제목 방문한 웹페이지 제목표시줄 내용
방문횟수 방문한 횟수
타입 방문한 방법(URL 입력, 링크 연결 등)

쿠키[편집]

[그림 8] WEFA 쿠키 탭

WEFA는 브라우저별 쿠키 정보를 파싱하여 [그림 8]처럼 출력한다. 쿠키 탭의 각 항목은 [표 3]과 같은 정보를 나타낸다.

[표 3] WEFA 쿠키 탭 정보
항목 설명
브라우저 사용한 웹브라우저
호스트 쿠키를 생성한 사이트
경로 사이트에서 쿠키가 생성된 경로
마지막 접근시간 마지막으로 쿠키를 사용한 시간
이름 쿠키 이름
쿠키 값
디코딩 값 디코딩한 값
상세정보 상세정보
만료시간 쿠키 만료 시간
Secure 옵션 1이면 클라이언트측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해당 쿠키에 액세스 불가능
HttpOnly 옵션 1이면 SSL(Secure Sockets Layer)을 사용하여 해당 쿠키를 전송, 즉 HTTPS로만 쿠키를 전송

다운로드 목록[편집]

[그림 9] WEFA 다운로드 목록 탭

WEFA는 브라우저별 다운로드 목록 정보를 파싱하여 [그림 9]처럼 출력한다. 다운로드 목록 탭의 각 항목은 [표 4]과 같은 정보를 나타낸다.

[표 4] WEFA 다운로드 목록 탭 정보
항목 설명
브라우저 사용한 웹브라우저
파일명 다운로드한 파일 이름
URL 다운로드 URL
저장위치 로컬 저장 위치
저장시간 다운로드 파일 저장 시간
파일크기 다운로드 파일 크기
다운로드 결과 다운로드 결과

세션[편집]

[그림 10] WEFA 세션 탭

WEFA는 브라우저별 세션 정보를 파싱하여 [그림 10]처럼 출력한다. 세션 탭의 각 항목은 [표 5]와 같은 정보를 나타낸다.

[표 5] WEFA 세션 탭 정보
항목 설명
브라우저 사용한 웹브라우저
행위 사용자의 행위 분석(검색, 블로그, SNS 등)
검색정보 행위가 검색일 경우 검색한 내용
디코딩 URL URL에서 URL 인코딩된 부분을 디코딩한 URL
URL 방문한 URL
세션 시작 시간 세션이 시작된 시간
세션 종료 시간 세션이 종료된 시간
제목 방문한 웹페이지 제목표시줄 내용

검색 정보[편집]

[그림 11] WEFA 검색 정보 탭

WEFA는 브라우저별 검색 정보를 파싱하여 [그림 11]처럼 출력한다. 검색 정보 탭의 각 항목은 [표 6]과 같은 정보를 나타낸다.

[표 6] WEFA 검색 정보 탭 정보
항목 설명
브라우저 사용한 웹브라우저
검색정보 사용자가 검색한 내용
디코딩 URL URL에서 URL 인코딩된 부분을 디코딩한 URL
URL 방문한 URL
방문시간 방문한 시간
제목 방문한 웹페이지 제목표시줄 내용
방문횟수 방문한 횟수
타입 방문한 방법(URL 입력, 링크 연결 등)

로컬파일 열람[편집]

[그림 12] WEFA 로컬파일 열람 탭

WEFA는 브라우저별 로컬파일 열람 정보를 파싱하여 [그림 12]처럼 출력한다. 로컬파일 열람 탭의 각 항목은 [표 7]과 같은 정보를 나타낸다.

[표 7] WEFA 로컬파일 열람
항목 설명
파일명 열람한 파일 이름
파일경로 열람한 파일 경로
열람 시간 열람한 시간

임시임터넷파일[편집]

[그림 13] WEFA 임시인터넷파일 탭

WEFA는 브라우저별 임시인터넷파일 정보를 파싱하여 [그림 13]처럼 출력한다. 임시인터넷파일 탭의 각 항목은 [표 8]와 같은 정보를 나타낸다.

[표 7] WEFA 로컬파일 열람
항목 설명
폴더명 임시파일이 저장된 폴더
파일명 임시파일 이름
확장자 임시파일 확장자
파일크기 임시파일 크기
전체경로 임시파일의 전체 경로
생성시간 임시파일이 생성된 시간

타임라인[편집]

[그림 14] WEFA 타임라인 탭

WEFA는 인터넷 아티팩트 분석 결과를 [그림 14]처럼 타임라인으로 그려준다. 타임라인 탭에는 타임라인 기준일을 설정하여 이후의 결과를 출력한다. 또한 검색, 메일, SNS, 블로그 등 WEFA가 사용자 행위를 분석하여 필터링하는 기능이 있다.

뷰어[편집]

[그림 15] WEFA 뷰어

인터넷 히스토리 목록 중 원하는 것을 더블클릭하면 오른쪽 뷰어 창에서 해당 웹페이지를 볼 수 있다. 뷰어 기능은 캐시 탭이나 세션 탭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뷰어의 “URL 파라미터 뷰어”는 URL 파라미터를 분석자가 보기 쉽게 변수와 값으로 나누어 보여주는 기능이다. [그림 15]는 사용자가 검색한 사이트를 WEFA 뷰어에서 보여주는 화면이다.

파일 출력[편집]

[그림 16] WEFA 파일 출력

도구탭의 CSV 파일 출력을 선택해서 저장할 폴더를 지정하면, WEFA가 분석한 탭을 각각의 CSV포맷 파일로 저장한다. WEFA는 보고서 기능도 제공하는데, 도구탭의 보고서를 선택하면 [그림 16]처럼 보고서를 출력할 수 있는 화면이 생성된다.

키워드 검색[편집]

[그림 17] WEFA 키워드 검색 화면

WEFA는 다양한 키워드 검색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림 17]처럼 WEFA에서는 다양한 키워드 검색 조건을 제공한다. 우선, 키워드 검색어에 정규식을 쓸 수 있으며, 일반 키워드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날짜를 제한을 두어 검색을 할 수 있으며, 키워드 검색을 할 탭을 별도로 설정 가능하다.

제한사항[편집]

[그림 18] WEFA 로컬파일 열람 오류

WEFA는 Internet Explorer 10 이상의 웹브라우저에 대한 일부 정보를 제대로 출력하지 못한다. 로컬파일 열람 탭의 경우 [그림 18]처럼 파일명과 파일경로가 비정상적으로 출력된다.

수사 활용 방안[편집]

WEFA는 별도의 설치가 필요 없는 포터블 프로그램이고 대부분의 주요 웹브라우저를 분석할 수 있으며 다양한 분석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수사 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강력한 키워드 검색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 수사 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