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 환경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정의 및 설명[편집]
가상화 환경이란 서버, 네트워크 PC, 스토리지 등 각각에 분리되어 있는 자원들을 유연하게 통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화 기술이 연구되면서 등장하기 시작했다.
가상화 기술은 IT 조직이 비즈니스를 뒷받침하기 위해서 추진하는 세 가지 큰 목표인 민첩성, 서비스의 질, 비용 효율성의 교집합에 해당하는 영역에 배치된다.
가상화 기술은 규제 준수, 보안, 그린 IT, 자원 통합, 비용 절감 등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의 접점을 통해 발전의 원동력을 얻고 있다.
이에 따라 오늘날에는 다양한 가상화 환경이 존재하며, 그렇기 때문에 클라우드 (가상 데스크톱 환경) 데이터 획득 등 다양한 가상화 환경에서의 포렌식 조사를 위해 조사 현장에 구축되어 있는 가상화 환경을 식별해야 할 필요가 있다.
가상화 기술의 종류로는 크게 데스크톱 가상화, 서버 가상화, 스토리지 가상화, 네트워크 가상화 어플리케이션 가상화 등이 있다. [1]
가상화 기술 종류 | 특 징 |
---|---|
데스크톱 가상화 | 서버-사이드 데스크톱 가상화 기술과 클라이언트-사이드 데스크톱 가상화 기술이 존재한다. 서버-사이드 데스크톱 기술은 사용자의 데스크톱에서 Windows Vista, Windows 7 등의 이기종의 또 다른 데스크톱을 가상으로 소유가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클라이언트-사이드 데스크톱 가상화는 PC 안의 이기종의 가상 데스크톱을 운영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데스크톱 가상화 기술을 통해 사용자들은 개인 작업 공간과 회사 작업 공간의 분리가 가능해졌다 |
서버 가상화 | 데이터센터 내의 수십 대의 물리적인 서버 워크로드들을 몇 대의 가상 서버로 통합 집적하여 물리적인 상면 비용, 관리적인 측면의 비용, Green IT 측면의 전력량을 포함한 서버 자원 활용도를 증대시키는 기술이다. |
스토리지 가상화 | 필요로 하는 스토리지 공간 대신 Thin-Provisioning 이라는 기술을 통해 초기 필요 최소 공간만을 가상으로 할당하여 서비스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또, 이기종의 스토리지 시스템들을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끔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로, NAS, FC SAN, IP SAN 등의 기술이 가상화 인프라 환경에서 스토리지 서비스로서의 지원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
네트워크 가상화 | 하드웨어 어플라이언스 형태로 존재해 왔던 L2, L3, L7 스위치, 네트워크 방화벽, 보안 장비들을 가상 머신으로 구현하고, 네트워킹 자원들이 하나의 공유된 물리적인 환경에서도 내부적으로는 가상화를 통해 분리되어 동작하게끔 하는 기술이다. 기존의 물리적인 네트워킹 아키텍처에서 오토메이션과 프로비저닝이 가능한 가상 머신 어플라이언스 형태로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
어플리케이션 가상화 | 사용자의 PC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가상화를 통해 제공하는 기술로, 사용자는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자신의 PC에서 매번 설치하지 않고도, 즉시 가상화 환경으로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다. |
이렇게 가상화 환경 구축을 가능하게 해주는 사설 클라우드 솔루션은 크게 Citrix 가상화 솔루션, VMware 가상화 솔루션, Microsoft 가상화 솔루션으로 구분할 수 있다.
종 류 | 특 징 | 비 고 |
---|---|---|
Citrix | 가상화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호스트 컴퓨터에서 다수의 운영체제를 동시에 실행 가능하게 하는 논리적인 플랫폼인 하이퍼바이저가 필요한데, XenServer는 하이퍼바이저 역할을 담당한다. XenServer 위에 서버군을 구성하여 서비스하게 되면 서버 가상화라고 지칭하는 형태가 구성되며, XenServer 위에 가상머신을 구성하여 서비스를 하게 되면 이를 데스크톱 가상화라 부른다. XenDesktop은 데스크톱 가상화 영역으로, 사용자가 가상머신 환경을 사용할 수 있게끔 한다. XenApp은 어플리케이션 가상화 영역으로, 특정 어플리케이션만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해주는 방식이다. |
XenDesktop, XenServer, XenApp |
VMware | Datacenter(서버) 가상화를 위한 vSphere와 데스크톱 가상화를 위한 View, 그리고 개인 PC를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VM을 설치할 수 있는 Workstation으로 나눌 수 있다. VMware 가상화 환경 구축을 위해서는 vSphere와 View가 사용된다. |
|
Microsoft | Windows Server 2008 버전 이후 버전(Windows Server 2008 R2, Windows Server 8)에서 하나의 역할로 제공된다. 또, 이를 독립적으로 분리시켜 나온 제품으로는 Microsoft Hyper-V Server가 있다. Hyper-V는 Citrix나 VMware와 같이 서버 가상화 솔루션과 데스크톱 가상화 솔루션이 구분되지는 않으며, Hyper-V를 통해 구축된 가상화 환경에 사용자가 RDS (Remote Desktop Service)를 이용하여 접속 및 사용하게 된다. Hyper-V에서는 이러한 서비스를 위해 적절한 가상 데스크톱 할당 및 사용자 인증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
Hyper-V |
향후 연구[편집]
위에서 알아본 바와 같이 매우 다양한 가상화 환경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가상화 솔루션들이 존재한다. 각 가상화 환경에 따라 식별해야 하는 구조가 다르며, 동일한 가상화 환경이라 하더라도 어떤 솔루션을 이용하여 구축하였는가에 따라 그 구조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각 경우에 대한 식별 방법론의 정립이 필요하다.
참고 문헌[편집]
- ↑ TTA Journal No.125